지난 글에서 "블록체인은 신뢰를 만드는 기술"이라고 했지?
이번에는 블록체인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원리와 구조를 쉽게 풀어볼게! 🚀
🧩 블록(Block) + 체인(Chain)? 이름 그대로 이해하기
블록체인은 이름 그대로 블록(Block)들이 체인(Chain)처럼 연결된 구조야.
각 블록에는 여러 개의 거래(트랜잭션) 정보가 담겨 있고, 이 블록들이 줄줄이 연결되면서 하나의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가 만들어지는 거야.
✅ 쉽게 예를 들어볼게!
- 블록 = 장부 📖 (거래 내역을 기록)
- 체인 = 실 📍 (장부들을 연결해서 위변조 방지)
각 블록이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고, 이전 블록과 연결되면서 변조가 불가능한 데이터 저장소가 탄생하는 거지!
🔍 블록에는 뭐가 들어갈까?
블록은 단순한 데이터 덩어리가 아니야! 안에는 핵심적인 정보들이 들어 있어.
💡 한 블록에는 다음 3가지 주요 정보가 저장돼!
1️⃣ 트랜잭션(Transaction) 데이터
- 실제 거래 내역 (누가 누구에게 얼마를 보냈는지 등)
2️⃣ 이전 블록의 해시값 (Previous Hash)
- 바로 앞 블록의 고유한 ID (해시)
- 이 값이 있어야 체인이 끊어지지 않고 연결됨!
3️⃣ 해시(Hash) 값
- 현재 블록의 고유한 ID
- 블록이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해시값이 완전히 달라짐 → 위변조 방지 효과!
✅ 즉, 블록은 "거래 정보 + 보안 코드(해시)"로 이루어진 하나의 데이터 패키지야!
💾 트랜잭션이 기록되는 과정
그럼 실제로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(거래)이 기록되는 과정을 살펴볼까?
1️⃣ 사용자가 거래 요청!
- 예: A가 B에게 1비트코인을 송금
2️⃣ 네트워크에서 거래를 검증
- 노드(참여자)들이 트랜잭션이 올바른지 확인
- 위조된 거래는 승인되지 않음
3️⃣ 승인된 거래가 블록에 저장됨
- 여러 개의 트랜잭션이 모이면 새로운 블록이 생성됨
4️⃣ 블록이 기존 블록체인에 추가됨
- 새 블록이 이전 블록과 연결되며 체인이 형성됨
5️⃣ 블록체인은 계속 성장하며 안전하게 유지됨!
- 새 블록이 추가될 때마다 네트워크 전체가 동기화됨
🚀 즉, 블록체인은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거래 기록을 공유하면서 신뢰를 유지하는 시스템이야!
🔐 해시 함수와 암호화 - 쉽게 이해하기
블록체인이 해킹당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해시 함수(Hash Function)와 암호화 기술 때문이야!
📌 해시(Hash)란?
해시는 아무리 긴 데이터라도 일정한 길이의 고유 코드로 변환하는 기술이야.
✅ 예를 들어볼게!
- "ChatGPT" → a8f5f167f44f4964e6c998dee827110c
- "chatgpt" → 7e99e8cbb67312e2bf4b9c6c2b6a6c2a
한 글자만 바꿔도 완전히 다른 해시값이 나오지?
💡 이게 바로 블록체인이 위변조에 강한 이유야!
🔹 해시값이 변경되면 전체 블록체인이 무효화됨!
🔹 해커가 한 블록을 조작하려면 연결된 모든 블록을 바꿔야 함 → 사실상 불가능!
✅ 정리하면?
✔️ 블록체인은 블록(Block)과 체인(Chain)이 연결된 구조
✔️ 블록에는 거래 내역, 이전 블록의 해시값, 현재 블록의 해시값이 저장됨
✔️ 트랜잭션은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검증을 거쳐 블록에 기록됨
✔️ 해시 함수가 데이터를 보호하고 블록체인을 위변조 불가능하게 만듦
📌 다음 글에서는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 요소(탈중앙화, 합의 알고리즘 등)를 다룰게!
'Blockchain & Crypto > 🌍 블록체인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블록체인 A-Z 개념정리: 5. 블록체인의 장점과 한계 (0) | 2025.02.20 |
---|---|
블록체인 A-Z 개념정리: 4. 블록체인의 보안과 신뢰 (0) | 2025.02.20 |
블록체인 A-Z 개념정리: 3.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 요소 (0) | 2025.02.20 |
블록체인 A-Z 개념정리: 1. 블록체인이란? 한 방에 이해하기 (1) | 2025.02.20 |